티스토리 뷰

서운주-통계청-사회통계국장
서운주-통계청-사회통계국장

반응형

2023년 8월, 한국의 취업자 수가 1년 전 대비 약 27만 명 증가하여 증가폭이 확대되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67만 8,000명으로, 1년 전보다 약 26만 8,000명(0.9%)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청년층의 고용률은 전년 동월에 비해 0.3% 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23년 8월 고용률은 63.1%로, 1982년 7월 이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실업률은 2.0%로 1999년 6월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취업자 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26만 8천 명 증가하여 30개월 연속 증가하였으며, 전월보다는 7만 7천 명 증가하여 2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습니다.

증가한 이유로는 7월 집중호우 영향이 큰 건설업과 농림어업의 감소 폭이 축소되었으며, 돌봄 수요 확대 등으로 보건복지업과 숙박음식업 중심의 고용이 개선되었다고 분석됩니다. 청년층(15~29세)의 고용률은 47.0%로 역대 2위를 기록하였고, 실업률은 4.5%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20대 후반 고용률은 상승하며 호조를 보였습니다.

취업자 수는 기저효과와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10만 3천 명 감소하였으나, 감소 폭은 전월(13만 8천 명)과 비교해 축소되었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중국인 단체관광 재개 등으로 서비스업 중심으로 고용률과 실업률이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으며, 제조업과 건설업에서의 고용 부진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전담반을 중심으로 고용 동향을 점검하고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노력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